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Portfolio Visualizer 사용법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Portfolio Visualizer 사용법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는 주식과 ETF를 선택하여 백테스트를 하고 하나 이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다. 시뮬레이션 결과로 각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위험도를 알 수 있다. 배당을 목적으로 한다면 주기적인 현금 흐름을 지정할 수도 있다.

아래 이미지에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홈페이지를 링크했다.
왼쪽 하단에 Backtest Portfolio로 들어가면 된다.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홈페이지
왼쪽 아래 Backtest Portfolio로 들어가자.

대표적인 배당 ETF인 SCHD와 JEPI를 가지고 자산 비율이 다른 세 가지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자.
SCHD와 JEPI의 자산 비율은 100:0 / 50:50 / 0:100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자.

먼저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자산(Asset)과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율만 설정 해 보겠다.
자산을 선택할 때는 직접 입력은 안되고 돋보기를 클릭하여 창이 뜨면 티커(Ticker)를 입력하고 드롭다운 리스트가 표시되면 선택하는 방식이다. 그냥 티커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티커를 입력하고 드롭다운 리스트가 뜨면 선택한다.

그리고 각 포트폴리오에서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입력하고 하단의 Analyze Portfolios를 클릭하면 분석 결과를 볼 수 있다.

SCHD JEPI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두 개 자산을 비율별로 배분해서 세 개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었다.

결과를 보면 예측할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SCHD는 성장형 배당 ETF이기 때문에 향후 기대 수익과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높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JEPI는 인컴형 배당 ETF이기 때문에 커버드콜 전략으로 향후 기대 수익은 낮지만 기초자산의 변동성은 SCHD 대비 낮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SCHD JEPI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시백테스트
SCHD는 CAGR과 MDD가 높다. JEPI는 CAGR과 MDD가 상대적으로 낮다.
portfolio model configuration

① Time Period : 백테스트 기간을 월별로 할지 연도별로 할지 선택한다.
② Start Year : 백테스트 시작 연도. (시작 연도 이후에 출시된 상품이라면 출시 시점부터 자동 계산됨)
③ End Year : 마지막 연도.
④ Include YTD : YTD 결과에 현재 월의 수익을 포함할지 결정한다. No의 경우 전월까지 계산한다.
⑤ Initial Amount : 초기 투자금을 의미한다.
⑥ Cashflows : 포트폴리오에 현금 유출이나 유입이 있는지 선택한다.
⑦ Rebalancing : 주기적으로 자산을 리밸런싱 하는지 선택한다.
⑧ Leverage Type : 대출이 있다면 대출 금리를 설정할 수 있다. 
⑨ Reinvest Dividends : 배당금 재투자 여부를 선택한다.
⑩ Display Income : 배당금을 인출한다면 수입을 보여줄 수 있다.
⑪ Factor Regression : 회귀 분석을 할 것인지 선택한다.
⑫ Benchmark : 포트폴리오를 벤치마크 할 티커 또는 지수를 선택한다.
⑬ Portfolio Names : 포트폴리오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SCHD와 JEPI는 배당 ETF이므로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고 인출해서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다면 9번 설정을 NO로 설정하면 된다.

자 이제 결과값의 의미를 알아보자.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performance summary 의미 뜻

Initial Balance : 초기 잔고. 여기서는 $100,000를 설정했다.
Final Balance : 현재 기준 잔고. 위에서 Start Year를 1985년으로 설정했지만, 두 상품의 출시일은 최근이기때문에 수익이 높지는 않다. (SCHD 출시일 2011. 10. 21., JEPI 출시일 2020. 5. 20.)
CAGR : 연평균 성장률은 SCHD 9.54%, JEPI 8.78%이다. 반반 섞은 Portfolio 2는 9.19%.
Stdev : 수익률 표준편차를 말한다. 표준편차가 높으면 변동성이 큰 것이고, 작으면 변동성이 낮아서 안정적인 것이다. CAGR이 높으면서 Stdev가 낮을수록 안정적으로 고수익을 준다고 볼 수 있다.
⑤ Best Year : 가장 수익률이 좋았던 연도에 SCHD는 29.87%를 기록했고, JEPI는 21.51%를 기록했다.
⑥ Worst Year : 가장 크게 하락한 연도.
Max. Drawdown : 해당 기간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의 하락율을 말한다. MDD라고 줄여서 부른다. 낮을 수록 좋다.
Sharpe Ratio : 변동성 대비 기대수익률을 의미한다. 즉, 위험을 감수했을 때 얼마나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샤프 비율 = (기대 수익률 – 무위험률*) / 투자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 무위험률 : 무위험률은 주로 국채 또는 안전자산의 수익률이다.
* 투자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 주가 수익률의 표준편차

⑨ Sortino Ratio : 샤프 비율(Sharpe Ratio)과 유사하지만 주식의 하락이 수익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소르티노 비율 = (기대 수익률 – 무위험률) / 하락(손실) 표준편차

⑩ Market Correlation : 포트폴리오와 시장과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 +1 : 양의 상관관계. 포트폴리오가 시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 0 : 상관관계가 없음. 포트폴리오와 시장은 서로 독립적이다.
* -1 : 음의 상관관계. 포트폴리오와 시장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는다면

앞에서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면 어떻게 될까.
Reinvest Dividends을 No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하면 다음과 같다.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는다면
배당을 재투자 하지 않으면 CAGR이 급감하고 JEPI의 경우는 기초자산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상으로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사용법을 마친다.
각 자의 주식과 ETF를 선택하여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